2023. 8. 19. 20:37ㆍ알고리즘/알고리즘 지식
해시테이블을 구현할 때 고민되는 부분이 몇 가지 있다. 해시 테이블 크기와 해시 함수이다. 먼저 해시 테이블 크기를 정해보자.
해시 테이블의 크기
해시 테이블에서 원소의 개수 / 테이블의 크기를 load factor라고 하고, 원소의 최대 개수는 곧 삽입의 최대 횟수이다. load factor를 작게 유지하면 충돌이 덜 생겨 연산들이 O(1)에 동작하겠지만 cache hit rate가 줄고 메모리를 많이 차지한다. 반대로 load factor를 크게 유지하면 충돌이 많이 생겨 성능에 악영향을 줄 수 있다. load factor를 정하는 방식은 체이닝 기법이냐 개방 주소화 기법이냐에따라 나뉜다.
먼저 체이닝 기법은 충돌이 어느 정도 발생하더라도 load factor를 1 이하로 둔다. 반면 개방 주소화 기법에서는 0.75 정도로 둔다고 한다. 테이블의 크기는 그렇게 성능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다고 하니 적당히 잡으면 된다. 또, 테이블의 크기를 소수로 두면 좋다고 하는데, 인터넷 검색이 가능한 경우 그렇게 하면 좋겠지만 꼭 쓸 필요는 없다. 실무에서 많이 사용하는 경우와 테이블의 크기가 소수인 이유는 챗GPT에게 물어보았지만 생각보다 내용이 딥해서 패스했다.
해시 함수 정하기
테이블의 크기를 M이라고 하면 정수에 대한 해시 함수는 M으로 나눈 나머지로 사용하면 딱 좋다. 문자열에 대한 해시 함수가 문제인데, 간단히 각 문자별로 아스키코드를 더하고 M으로 나눈 나머지로 정한다면 충돌이 굉장히 많이난다. 아스키코드 값이 최대 127로 정해져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std::size_t customHash(const std::string& str) {
std::size_t hash = 0;
for (char ch : str) {
hash = hash * 31 + static_cast<std::size_t>(ch);
}
return hash;
}
size_t는 unsigned_int이고 static_cast<>() 함수는 <>안의 자료형으로 캐스팅해주는 함수이다. 31을 곱해주는 이유는 해시 테이블에 데이터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려면 소수가 아닌 숫자보다 소수를 곱해주는 편이 더 좋고 비트-시프트 연산을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연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무에서는 단순히 소수가 아니라 철저한 분석과 고려 하에 정한다고 한다.
'알고리즘 > 알고리즘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알고리즘] 재귀 - 귀납적 사고와 재귀 함수 구조 짜기 (0) | 2023.09.13 |
---|---|
[알고리즘] LCS 길이 구하기와 LCS 출력하기 (0) | 2023.09.11 |
[알고리즘] 해시테이블과 충돌 회피 방안 (0) | 2023.08.19 |
[알고리즘] 시뮬레이션 문제를 풀려면 이것부터 알자! (0) | 2023.08.18 |
[알고리즘] 스택과 큐 구현 및 최적화 (0) | 2023.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