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준화의 오류정정

조준화의 오류정정

  • 분류 전체보기
    • TIL
    • 프로그래밍 언어
      • Java
      • JavaScript
      • C++\C
      • HTML\CSS
      • Markdown
    • 알고리즘
      • 문제풀이
      • 알고리즘 지식
    • CS
      • Computer Architecture
      • Operating System
      • Computer Network
      • 백엔드
      • Information Retrieval
      • Database System
      • ServerProgramming
    • AI
      • YOLO
      • CS231n
    • 프로젝트: Co Laobr
    • 프로젝트: 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조준화의 오류정정

컨텐츠 검색

태그

재귀 우선순위 큐 백트래킹 til 정렬 java html 자료구조 문자열 OS BFS 문제풀이 C++ DP 백준 알고리즘 BOJ 자바 시뮬레이션 dfs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TIL(31)

  • [TIL] 24.06.27

    오늘은 인턴에서 시킨 번역에 관해서 공부를 먼저 좀 했다. 규모도 작겠다 그냥 API로 번역하면 안 되나 싶었지만 무언가 문제가 있다고 하셔서 여러 방법을 생각해 보았다. 1. 아고다에서는 KantanAI를 사용하고 있었다. 라이브러리나 오픈소스 개념은 아닌 것 같고 AI 모델을 사용해야 하는 것 같은데 아직 AI에 관한 지식이 부족해서 비용이 얼마나 드는지, 중소기업 규모에서 사용할만한지는 판단할 수 없었다. KantanAI- The worlds most advanced machine translation enginesKantanAI is the world’s leading custom neural machine translation technology developer and creators of t..

    2024.06.28
  • [TIL] 24.06.26

    학기 중엔 바빠서 TIL을 쓸 생각을 딱히 못했는데 방학도 했겠다 슬슬 다시 시작하려 한다. 매일매일의 목표부터 짚고 가자!1일 1문제 풀기1일 1커밋 (CS 스터디, AI 스터디 등)인턴 가기 전 운동정해진 공부 중 하나 꼭 하기 오늘은 인턴 시간에는 대표님이 시키신 아고다 등의 사이트에서 사용하는 언어 번역 방법을 조사했다. 그 과정에서 CMS라는 걸 새로 배웠는데 콘텐츠 관리 시스템이라는 웹사이트 제작 툴이었다. 그냥 쉽게 만드는 툴뿐 아니라 서버와 DB까지 제공하고 플러그인도 많이 제공한다는 것 같은데 솔직히 잘 모르겠다. 크게 쓸 일이 없을 것 같다. 그 외에도 번역 툴을 좀 공부했는데 크게 세 가지가 있다. 파파고, 구글 등 번역 API, CMS 사용, 플러그인 사용여기서 API는 지금 바로 ..

    2024.06.26
  • [TIL] 24년 1학기의 프로젝트들을 마치고,,,

    웹 소프트웨어 - 카드피디아템플릿 엔진 사용법과 프론트, 백의 기본 개념이 다져졌다. 생각하지 못한 이득이었다. 사실 뭐 사용법과 개념은 공부하면 되는 거고 진짜 느낀 점은 근거 있는 디버깅의 중요성이었다. 내가 풀스택을 도와가면서 하다보니 백에서 일어나는 오류는 로그로, 프론트에서도 로그로 해결하려 했다. 그런데 규모가 커지다 보니 로그가 어떻게 찍히는지도 모르겠고 많은 오류를 겪어서 차근차근 인터넷 도구의 네트워크 탭과 소스 탭을 확인하고, 로그를 찍어보고, 논리적으로 판단하여 이 부분은 문제가 없다. 혹은 이 부분에 무조건 문제가 있다. 이런 걸 잘 판단하는 능력이 길러졌다. 또 깃을 그나마 체계적으로 사용하면서 원격 저장소, 원본 저장소, 로컬 저장소의 개념을 좀 깨달을 수 있었다. 전문 프로젝트..

    2024.06.26
  • [TIL] 24.01.25

    오늘은 오랜만에 문제를 하나 풀었다. 그간 스프링 강의만 듣고 문제풀이는 안 했는데 스프링 강의만 듣다 보니 문제풀이 감도 떨어지고 블로그에 글도 잘 안올리게돼서 대회 출처 문제정도만 매일 하나씩 풀기로 계획을 바꿨다. 스프링 강의는 일단 입문은 다 들었다. 스프링과 JDBC에 대해 공부했는데 이게 어떤 기술인지, 어떤 방식으로 작동하는지 정도는 이제 익혔고 다른 강의를 들으면서 더 공부할 예정이다. 개강까지 한 달 정도 남았는데 HTTP 지식과 스프링 지식을 좀 채워서 프로젝트 과목에서 써먹는 게 목표다. 프로젝트를 할 때 좀 중점적으로 해보고싶은게 있는데 주제와 구현 기술 쪽보다는 git를 이용한 협업을 좀 잘해보고 싶다. Test code도 각 메서드별로도 짜놓고 통합도 미리 짜놓고 해서 유지보수가..

    2024.01.25
  • [TIL] 23.12.30

    오늘은 DP 한 문제를 풀고 강의를 하나 들었다. DP문제는 여느 DP와는 다르게 점화식 찾기가 중요한 게 아닌 메모이제이션을 DFS에 적용시키는 풀이였다. DFS 문제는 많이 풀어서 메모이제이션 적용이 쉬울 줄 알았는데 생각보다 어려웠다. 스프링 강의는 회원 가입 mvc를 공부했는데 어려웠다. 타임리프 문법과 mvc 컨트롤러 관련 모르는 지식들이 많이 나와서 이해하는데 좀 오래 걸렸다.

    2023.12.30
  • [TIL] 23.12.29

    오늘은 스프링으로 회원 서비스 예제와 의존성 주입, 스프링 빈을 공부했다. 이제 본격적으로 백엔드를 맛보는 느낌이다. 회원 서비스, 리포지토리, 비즈니스 로직 이런 용어들이 굉장히 헷갈려서 이 기회에 대충 공부해 봤다. 비즈니스 로직이란 실제 비지니스 요구사항을 구현하고 처리하는 부분이다. 서비스는 비지니스 로직을 제공하고 외부에서 호출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다른 시스템과 상호작용 하는 데 사용되는 클래스이다. 반면 리포지토리는 데이터 액세스 객체라고도 불리며 DB 등과 상호작용을 하면서 내부적으로 동작하는 메서드를 포함한다. 따라서 레포지토리는 findById 같은 개발적인 이름을 쓰고 서비스는 비즈니스에서 가지고 온 용어를 사용한다.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컨트롤러 : 외부 요청을 받아 뷰 템플릿과 ..

    2023.12.29
이전
1 2 3 4 ··· 6
다음
티스토리 github notion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