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준화의 오류정정

조준화의 오류정정

  • 분류 전체보기
    • TIL
    • 프로그래밍 언어
      • Java
      • JavaScript
      • C++\C
      • HTML\CSS
      • Markdown
    • 알고리즘
      • 문제풀이
      • 알고리즘 지식
    • CS
      • Computer Architecture
      • Operating System
      • Computer Network
      • 백엔드
      • Information Retrieval
      • Database System
      • ServerProgramming
    • AI
      • YOLO
      • CS231n
    • 프로젝트: Co Laobr
    • 프로젝트: 노인을 위한 나라는 있다.
  • 홈
  • 태그
  • 방명록
RSS 피드
로그인
로그아웃 글쓰기 관리

조준화의 오류정정

컨텐츠 검색

태그

자료구조 우선순위 큐 OS BFS 자바 문자열 문제풀이 BOJ C++ html DP 백트래킹 시뮬레이션 dfs til 재귀 알고리즘 java 백준 정렬

최근글

댓글

공지사항

아카이브

java(11)

  • [JAVA] 객체지향언어 - 오버로딩과 생성자, this, this()를 구별하자.

    1. 오버로딩 한 클래스 내에 이미 사용하는 이름과 같은 이름을 가진 메서드가 있더라도 매개변수의 개수, 타입이 다르면 같은 이름으로 메서드를 정의할 수 있다. 이를 오버로딩이라 한다. 오버로딩이 성립되기 위해선 다음의 조건을 만족해야 한다. 메서드 이름이 같아야 한다. 매개변수의 개수 또는 타입이 달라야 한다. 반환 타입은 오버로딩을 구현하는데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다. 오버로딩이 되는 예시와 오버로딩에 실패한 예시를 잘 봐야 한다. int add(int a, int b); int add(int x, int y); 이 두 메서드는 매개변수의 이름만 다를 뿐 두 메서드를 전혀 구분할 수 없다. 따라서 오버로딩에 실패한 예시이다. int add(int a, long b); int add(long a, i..

    2023.11.27
  • [JAVA] 객체지향언어 - 클래스와 객체, 클래스와 인스턴스를 잘 구분하자.

    1. 객체지향언어의 목표 코드의 재사용성 유지보수 중복된 코드의 제거 이 세 관점을 중심으로 객체지향개념을 학습해 보자. 2. 클래스와 객체 클래스란 객체를 정의해 놓은 것이다. 객체의 설계도 또는 틀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객체는 클래스에 정의된 내용대로 메모리에 생성된 것을 뜻한다. 어떤 클래스로부터 만들어진 객체를 그 클래스의 인스턴스라고 한다. 클래스로부터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한다. 클래스명 변수명; 변수명 = new 클래스명(); //클래스의 객체를 생성한 후, 객체의 주소를 참조변수에 저장 Tv t; t = new Tv(); Tv t; Tv클래스 타입의 참조변수 t를 선언한다. 이때 메모리에 참조변수 t를 위한 공간만 마련되고 참조변수 t에는 아무 값도 저장되어있지..

    2023.11.24
  • [JAVA] 연산자 활용과 난수 구하기, 반복문 지정하여 탈출하기

    1. 소수형 반올림 구현 class Operator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double pi = 3.141592 double shortPi = (int)(pi * 1000 + 0.5) / 1000.0 System.out.println(shortPi) //실행 결과 3.142 } } 위의 예시처럼 반올림을 구현할 수 있다. Math.round()를 사용해서도 간단히 반올림을 할 수 있다. round() 함수는 매개변수로 받은 값을 소수점 첫째 자리에서 반올림하므로 위 예제처럼 소수점 네 자리에서 반올림하려면 Math.round(pi * 1000) / 1000.0;과 같이 사용하면 된다. 2. 쉬프트 연산의 쓰임새 a > 연산자는 오른쪽으로 이동시킨다..

    2023.11.23
  • [JAVA] 정수형과 실수형 - 정밀도를 주의하자!

    1. 정수형 - byte, short, int, long 정수형 변수의 자료형은 4개가 있으며 차례로 1byte, 2byte, 4byte, 8byte이다. 모든 정수형은 n개의 비트에 대해 가장 왼쪽의 비트를 부호 비트로 사용하고 나머지는 값을 표현하는 데 사용한다. 따라서 n비트로 표현할 수 있는 부호 있는 정수의 범위는 -2^(n-1) ~ 2^(n-1) - 1이다. 2. 실수형 - float, double 실수형은 차례로 4byte, 8byte이다. 실수형 변수는 비트를 부호, 지수, 가수 부분으로 나누어 사용한다. 실수는 2의 제곱을 곱한 형태, 즉 +-M * 2^E의 형태로 저장한다. 여기서 M이 가수 부분, E가 지수 부분이다. float타입은 부호를 1비트, 지수를 8비트, 가수를 23비트로 ..

    2023.11.11
  • [JAVA] 변수의 타입과 입출력

    1. JVM(Java Virtual Machine) 자바는 다른 언어들과 달리 운영체제에 독립적이다. 자바 응용프로그램은 운영체제나 하드웨어가 아닌 JVM 하고만 통신하고 JVM이 해당 운영체제가 이해할 수 있게 변환해서 전달한다. 그래서 자바로 작성된 프로그램은 운영체제나 하드웨어에 관계없이 실행 가능하다. 단, JVM은 OS에 종속적이기 때문에 해당 OS에서 실행가능한 JVM이 필요하다. 2. 변수의 타입 변수의 타입은 크게 기본형과 참조형으로 나눌 수 있다. 기본형 변수는 data를 저장하는 반면, 참조형 변수는 어떤 값이 저장되어 있는 memory address를 값으로 갖는다. 기본형 변수 타입은 boolean, char, byte, short, int, long, float, double으로 ..

    2023.11.02
이전
1 2
다음
티스토리 github notion
© 2018 TISTORY. All rights reserved.

티스토리툴바